반응형 현테크의 경제학19 경제지표 GDP GNP GNI GPD는 국내총생산을 뜻한다. 지리적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의해 생산된 모든 부가가치를 합한 수치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사람뿐만 아니라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부가가치도 포함이 된다. GDP가 모든 가치의 합이 아닌, 부가가치의 합이라는 것인데, 만약 원재료를 외국에서 구매 후 가공한 뒤 제품을 만든다면, 제품에 부가된 가치는 완제품의 가격에서 원재료 가격을 뺀 만큼만 부가가치로 인정한다. 그 나라에서 생산된 가치만큼만 합산하는 것이다. GNP는 국민총생산을 뜻한다. GNP는 영토와 상관없이 한국 국적을 가진 국민이 생산한 모든 부가가치를 합산해 계산한다. 국내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생산활동을 포함한다. 예전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적어 GNP가 의미가 있었지만.. 2024. 5. 1. 국가의 무역 성적표인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외국과 일반적인 무역을 할 때 우리나라가 얼마나 이익을 봤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즉, 수출액에서 수입금을 뺀 것이 경상수지이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수지로 나눠지는데, 가장 핵심적인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가 있다. 상품수지는 다른 나라와 상품을 거래할 때의 수지타산을 의미한다. 서비스수지는 서비스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지타산이다. 예를 들어, 여행산업에서 발생한 이익은 서비스수지에 해당한다. 일반적인 외국과의 무역에 대해 전체 수출 금액 빼기 전체수 수익 금액을 경상수지라고 할 수 있다. 경상수지는 단순하게 생각하면 수출과 수입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나라가 외국에 판매한 자동차 수출액이 외제 차를 수입한 수입액보다 많다면 자동차 관련 상품수지는 흑자가 된.. 2024. 4. 30. 스태그플레이션과 그린플레이션 고물가 경기 침체는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가 한꺼번에 발생하는 상황을 말한다.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다. 이론적인 스태크를 레이션은 높은 실업률과 높은 물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걸 말하지만, 높은 실업률은 곧 경기침체로 이어지기에 경기침체로도 이해하면 된다. 고물가 경기 침체는 조금 이상한 현상이다. 보통 경기가 침체하여 실업률이 높아지면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고 소비가 줄면 물건이 덜 팔려 물가가 낮아진다. 그래서 보통 경기 침체가 되면 물가가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스태그플레이션이오면 경기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실업자들이 많아지고, 물가까지 올라 사람들이 생계유지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보통 스태크를 레이션은 외부.. 2024. 4. 29. 물가를 오르내리게 하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해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고,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인 플레이리스트 레이션은 한마디로 '물가 상승'이다.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경우 화폐의 가치가 낮아져 같은 돈이라도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든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인플레이션은 가격 상승이 장기적이어야 하며, 대부분의 상품과 재화 가격이 동시에 올라 상승 흐름을 만들어야 한다. 인플레이션은 외부에서 공급이 발생하거나, 경제가 성장할 때 나타난다. 첫째로,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수요가 늘어나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경제가 성장하면 물건을 사려는 수요가 많아지고, 가격이 오르게 된다. 이렇게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은 앞으로 물건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물건을 더 많이 사게 .. 2024. 4. 2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