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꿀 TIP 모음

알바생 월급 3.3% 원천세 세금 신고 셀프로 직접하기_1탄

by 리부냥 2024. 6. 1.
반응형

나는 해외직구 사업을 하면서 상품등록 일을 알바로 둔 적이있다. 근로를 하는사람은 무조건 세금 신고를 하는데, 4대보험이 아닌 3.3%만 떼는 경우가 있다. 이 3.3% 를 인터넷으로 신고 후 납부 방법을 하나씩 설명해 보겠다. 

 

 

 

 

 

글 읽기전 주의사항!! (3.3%를 신고해야 하는 상황인 점을 인지하신분들에게 공유 드리는 글입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신고법은 세무사에 문의 부탁드립니다.)

 

 

 

신고 대상

1. 프리랜서

2. 일일알바

3. 단시간 근무자 등등

 

 

 

 

4대보험 신고를 하기에는 하루 근무를 한 일일 알바생에 적용되지 않지만, 원천세라고 하는 세금을 신고한다. 이 신고를 하는것이 세금처리할 때 비용으로 뺄 수 있어서 좋은 부분이있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을 신고하는 것인가? 신고는 3가지를 해야한다.

 

 

첫째, 홈텍스 사업소득세 신고 후 납부

둘째, 위텍스 지방소득세 신고 후  납부

셋째, 지급명세서 신고 

 

 

 

또 신고하는 기간과 신고의 기준일을 얘기해보겠다.

 

 

-신고일 기준  : 지급한 달 기준으로 다음달 1~10일 사이

ex. 월급지급일 5월 1일 이라면?  6월 1~10일 사이에 5월 1일 지급한 금액을 신고한다.

 

-신고기간 : 매월 1~10일 사이

 

자주하는 질문) 근로한 날과 상관없이 지급한 달 기준이니 요일이 아닌 월급을 지급한 달 기준으로 하면 된다.

 

 

 

TIP. 나는 핸드폰 스케줄 달력 매월 1일날 알림을 해두었다.

 

 

 

첫째, 홈텍스 신고 

이제부터 자신의 셀프로 알바생 3.3% 떼는 방법을 설명해보겠다. 

아래링크로 들어가 홈택스 키고 본인 '사업자'로 로그인을 한다. (간혹 본인의 이름으로 되있을 수 있으니 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클릭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_pp.xml

 

 

 

 

 

 

 

1. 아래을 보고 세금신고 마우스 데고, 원천세 신고 데면 오른쪽 '일반신고' 클릭

 

 

 

 

 

 

 

 

 

2. [정기신고] 클릭

 

 

 

 

 

 

 

 

 

3. 아래 [사업자(주민)등록번호] 오른쪽 사업자번호 10자리를 넣고 확인 클릭 (주민번호 말고 사업자 번호로 입력)

 

 

 

 

 

 

 

 

4. 아래로 화면 내린 후 [사업소득 체크] 클릭

[저장후 다음 이동] 클릭

 

 

 

 

 

 

 

 

 

 

 

 

 

5.여기서 중요함!!! (아래 사진 참고)

 

 

인원수/ 총지급액 / 소득세를 직접 입력해야한다.

 

총지급액 = 3.3% 세금 떼기 전 금액을 넣는다.

소득세=총지급액x3% 를 넣는다. 

 

ex. 세전 금액 10만원일 경우 10만 넣고

소득세는 10만원의 3% 곱하면 3000원이 나온다.

 

(3.3% 중 3% 금액은 홈텍스로 신고, 0.3%는 위텍스에 신고하는 것이다.)

 

(3% 금액은 직접 계산해서 넣어야 하니 유의 바랍니다. 소수점 자리가 나오면 내림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6. 아래 스크롤 내리면 ,  소득 종류 선택은 미선택 후 [저장 후 다음 이동] 클릭

 

 

 

 

 

 

 

 

7. 신고서 부표 작성 [저장 후 다음이동] 클릭

 

 

 

 

 

 

 

 

8. 신고서 제출 하단에 금액을 확인 후 신고금액이 맞다면, [신고서 제출하기] 클릭

(5번의 소득세와 금액이 같아야함. 아래 사진은 참고용이고 본인이 신고한 소득세와 같다면 신고서 제출하기 클릭)

 

 

 

 

 

 

 

9. 팝업화면이 나오면 아래 스크롤 내린 후

아래 사진 참고 

[납부하기] 클릭

 

 

 

 

 

 

 

 

 

 

 

10. 정기신고 체크, 아래 [납부하기]로 클릭한다.

(가상계좌 받아도 상관없으나 바로 납부하기를 클릭하면 인터넷으로 납부가 가능하다.)

 

 

 

 

 

여기까지가 알바생 원천세 3.3% 신고 금액 중 3% 에 해당하는 금액 신고 방법 이다.

 

나머지 0.3프로는 위텍스 홈페이지를 통해 신고해야한다.  2탄에서 위텍스 신고를 포스팅하겠습니다 :)

 

 

 

 

고생하셨습니다!! 2탄이랑 3탄까지 하시고, 매월 직접하시면 익숙해지실겁니다. 포스팅 링크 저장해두시고, 매월 말일쯤에 참고하셔서 신고하시면 따로 알바생 원천세 신고때문에 골머리 앓을 필요가 없이 컴퓨터 한대만 있으면 다 처리 가능합니다.  

 

 

 

 

 

 

요약)

1. 원천세는 총 3가지를 신고한다. 첫째 홈텍스를 통한 사업소득세 , 둘째 위텍스를 통한 지방소득세, 마지막으로 총 지급한 지급명세서이다.

2. 홈텍스로 신고시 3% 금액을 직접 계산해서 소득세 칸에 넣어야한다.

3. 지급한 달 기준 다음달에 1~10일 이내 신고해야한다. ex. 지급을 5월 10일날 했다면, 10일날 입금한 세전 금액을 6월 1~10일 사이 신고한다.

 

 

 

 

 

 

 

2탄에서 위텍스 신고를 하는 방법으로 찾아 뵙겠습니다.